[박미영칼럼] 적당한 오지랖
'다른 사람의 무거운 짐을 들어 줄 수 없다고 해서 그냥 지나치지 말라. 가볍게 해 주려는 노력이라도 하라'
개인주의 사회가 만연한 요즘 세상에 마음의 여유가 생긴다는 건 쉬운 일은 아니다.
더불어 사는 인생은 대단한 것이 아니다. 그저 작은 따뜻한 마음과 시간으로 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작은 행동이라도 보여줄 수 있는 마음이 있다는 건 깊은 사랑이 있는 따뜻한 사람이다.
보답을 기대하지 않았더라도 베품은 원형처럼 돌고 도는 인지상정이다.
힘들게 손을 내민 상대방을 거절하지 못하는 사람은 '정이 많다'는 말을 듣지만 이해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괜한 오지랖으로 바보스럽다는 말을 듣기도 한다.
물론 낄 데 안낄 데를 못가리고 참견하기 좋아하는 사람이 되어서는 안된다. 적당한 오지랖은 자기 믿음의 분량대로 최선을 다하면 된다. 베품과 참견이 지나치면 자칙 "너나 잘하세요"라는 말을 들을 수 있다.
시간, 마음, 돈이 많고 적음이 아니라 언제든지 나눌수 있는 마음이 중요하다.
베풀고도 잊어버릴 수 있다면 행복한 사람이다. 해주고 바로 잊어버리는 것이 베품에 기본자세다. 베풀고 보답을 기대한다면 그것은 생색이다.
한편 베품을 받은 이들은 감사한 마음을 반드시 표시해야 한다. 주는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인다면 사실상 유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기 힘들다. 작은 고마운 감사의 마음을 보여준다면 그것이 진정 더불어 사는 인생이다.
베품을 몸소 실천으로 옮기는 행위는 어떤 것으로 부터 규제받지 않는 도덕적 자유의 영역이다. 그러한 자유 속에서 덕을 쌓는 삶의 방식이라고 어떤이든 말한다. 주고 받는 덕을 행해야 좋은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사람 사는 세상에서 모두 마음을 닫고 산다면 그것만큼 재미없는 세상은 없을 것이다.
서로 섭섭하고, 고맙고, 미안하고 잘못해 하며 솔직한 마음을 오픈하는 세상이 인간미 넘치는 일이다.
반드시 정성을 다하는 마음이 있어야 한다. 어떤 상황에서 당신을 찾아왔다가 돌아가는 사람은 누구나 더 좋아지고 더 행복해 질 수 있도록 최대한 나를 향해 오는 발걸음에 정성을 다하길 바란다.
자신이 처한 상황에 맞게 적당한 오지랖은 인간관계의 윤활유 역할이 될 것이다. 넓게 시작한 오지랖에 반드시 책임이 뒤따라야 하기 때문에 적정선을 유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