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미영칼럼] 가족 간의 안부

전문가 칼럼

[박미영칼럼] 가족 간의 안부

"밥은 챙겨 먹었니? 뭐 먹었니? 항상 제때 꼭 챙겨 먹어라" 

바쁜 와중에 부모님께 전화를 하면 자식의 안부를 묻는 첫마디는 처음부터 끝까지 밥 타령이라고 짜증 낸다. 2세들은 왜 그런 인사를 먼저 하는 지 모를 때가 많다.


요즘 끼니를 굶는 사람이 누가 있을까. 오히려 너무 많이 먹는 탓에 다이어트를 한다고 밥을 잘 안 먹는다. 밥으로 안부를 묻고 밥으로 인사하는 문화는 유일한 한국 민족의 표현이다. 한 끼 밥 속에는 안부, 걱정, 인간관계 등 모든 철학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밥은 음식에 대한 욕망이 아니라 관계에 대한 희망이자 연결이다.

가난했던 보릿고개 시절엔 하루 중 끼니를 챙겨 먹는 것만큼 중요한 게 없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식사를 챙기는 것이 중요한 문화였다. 참으로 밥이라는 것이 정말 중요한 한국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요즘엔 시간이 없다는 이유로 혼자 살거나 혼자 있을 땐 대충 때우고 한 끼를 제대로 챙겨 먹는 일이 쉽지 않다. 그래서 집을 떠난 젊은이에게 가장 많이 듣는 말 중에 하나가 "집밥 먹고 싶다"는 말이다. 


아무거나 먹자고 하는 시대라도 참으로 아이러니한 밥의 원동력은 계속적으로 이어진다.

가족의 행복 조건은 경제적 여유보다 가족 간 대화 시간에 따라 차이가 난다는 통계가 있듯이 가족 간의 밥 한 끼의 의미는 따스한 가정, 따스한 사회의 중요한 밑거름의 시작이다.


 소가족 안에서 함께 하는 밥 한 끼의 소중함도 귀한 시간으로 느껴진다. 어느 누가 밥 한번 먹자고 뱉은 말이 지켜지지 않을 인사치례 일지언정 기분 좋은 이유다.


인성교육은 훌륭한 선생, 각종 매개체가 아닌 가족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피나는 노력으로 유지해온 어르신들의 밥상머리 교육에서 나온 것이다.

가끔은 옛날의 세상살이 방식들이 더 크게 와닿고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도록 다짐하게 된다.

0 Comments
제목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