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애틀한인로컬칼럼] 품격있는 잔소리 - 박미영칼럼
언제부터 무엇때문인지는 모르지만 우리는 잔소리를 참 잘한다. 하루는 지인들이 모여 잔소리를 하는 입장과 듣는 입장으로 나뉘어 논쟁을 한 적이 있다. 부모라서 자녀들에게 잔소리하고, 배우자라서 잔소리하고, 상사라서 부하에게 충고한다. 어떤 위치에서든 잔소리를 한 번쯤은 다 해봤을 것이고 또한 연속적으로 들었을 것이다.
잔소리하는 사람의 공통점은 상대방이 잘 되라고 하는 훈계의 소리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과연 잔소리의 효과는 발휘할까.
여전히 자녀들을 향한, 배우자를 향한 잔소리는 몇 십년이 지나도 진행중이다. 말을 하고 또 해도 듣지 않으니 계속적으로 잔소리는 반복된다.
잔소리를 하는 사람은 자신의 욕심을 상대방으로 부터 무의식적으로 채우려드는 경향이 있다. 또한 자신이 잔소리를 한다는 인식을 하지 못한다. 반대로 듣는 사람은 잔소리를 건성으로 흘려 듣는다. 한쪽에서는 열심히 말하고 한 쪽에서는 열심히 버리는 공해일 뿐이다. 이쯤이면 소리 공해에 에너지 고갈이라해도 맞을 것이다. 참으로 끝이 나지 않는 아이러니한 게임이다.
한 연구팀은 잔소리를 녹음한 음성을 청소년을 대상으로 30초 들려주고 뇌의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잔소리를 듣고 있는 동안 뇌가 사회적 인식처를 중단하면서 잔소리하는 사람의 심리상태를 전혀 이해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하지만, 과학적인 결과는 잔소리 효과가 없다고해도 잔소리는 인간관계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소금같은 존재라 생각한다.
물론 상대방을 억압하고 비교, 비하가 섞인 잔소리는 금물이다.
한 귀로 흘러나갈 지언정 나쁜점을 고쳐나가기위한 좋은 잔소리는 계속적으로 진행되어야한다. 단계적으로 이어나가는 잔소리는 자연스럽고 일상적인 상황에서 아이들에게 가르쳐 주는 한 마디 한 마디는 무의식적으로 상대방에게 좋은 성품으로 성장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너저분한 아들의 방을 매일 치우다 지친 한 엄마는 그동안 계속된 잔소리도 소용없다며 언제까지 치워줘야하는 건지 걱정한다. 어떤 엄마는 치워주지말고 놔두면 본인이 알아서 치운다, 그래도 치우지 않으면 그냥 버려야 정신 차린다는 등 갖가지 상투적인 경험담을 쏟아낸다.마침내 그 아들이 집을 떠나 기숙사로 들어갈때 걱정은 더했다. 하지만 의외로 아들의 기숙사 생활은 옷과 신발 모든것이 정리정돈이 잘되어 있어 깜짝 놀랐다고 한다.
아들은 옷을 막 벗어 던지려하는 순간 엄마의 잔소리가 환청같이 들려 바로 치우다보니 어느새 깔끔한 성격으로 변하고 있었다며 귀에 못이 박히게 들었던 엄마의 잔소리 덕분이라고 너스레를 떨었다고 한다.
나또한 어릴때부터 들어온 엄마의 그 많은 잔소리 중에 하나 '현관 신발이 정리정돈이 잘 되어있는 집은 도둑이 들지 않는다. 들어오는 입구부터 화장실이 깨끗한 집은 구석구석 정리정돈이 잘 된 집이다 하나를 보면 열가지를 안다' 마치 주문 같이 못이 박에 들은 말들이다. 어릴때는 엄마한테 혼날까봐 항상 집에 들어오면 신발을 밖에서 털고 가지런히 놓았다. 동생들은 매번 지키지 않아 그 잔소리는 두 배 세 배로 지겹도록 들어야만했다.
그때의 잔소리가 머리와 몸에서 반응을 일으켜 지금도 지켜지고 있다. 지금까지도 현관입구가 먼지 한톨없이 정리정돈이 잘 되어있는지 살피고 또 살핀다. 그래서인지 나의 자녀들에 그 잔소리는 가보처럼 대물림으로 이어진다.
규칙과 때론 통제로 이어지는 잔소리는 좋은 훈계라고 인식하는 순간이다.
바로 결과물이 없어도 독립적인 객체가 되면 자신도 모르게 그동안 배워온 훈계가 어느새 생각을 지배한다.
잘못이 있는데 그냥 넘어가서도 안된다. 다른 일을 빌어 자꾸 깨우치고 알려줘야 한다.
"오늘 깨닫지 못하면 다시 내일을 기다려 훈계 하라. 봄바람이 언땅을 녹이고 온기가 얼음장을 녹이듯 하라”고 가르치라 말한다.
윗 세대들은 훈계의 필요성을 강조했고, 훈계는 마땅히 사랑으로 해야만 비로소 좋은 성품을 가르칠 수 있다는 진리만 잊지 않는다면 좋은 잔소리로 승격할 기회가 주어지는 것이다. 자녀 혹은 상대방의 성품을 변화시키는 것은 ‘따끔한 일침’으로 가슴을 후벼파는 소리치며 기분만 상하게 하는 꾸중이 아니라 ‘사랑의 관계 속에서 꾸준히 실천하는 성품훈계’라고 생각한다.
좋은 음식이 있으면 나눠먹고 싶은 것 처럼 좋은 경험이나 가르침을 자신도 모르게 말로 풀어내다 보니 잔소리가 되버린다.
중요한건 잔소리 안에는 오직 훈계만 존재해야지 그 안에 핀잔이나 개인의 화풀이가 섞어진다면 그건 미해결 욕구를 채우는 일에 불과하다. 잔소리도 품격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하고, 오늘도 꾸준히 포기말고, 지겹도록 재잘대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