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미영칼럼] 마음의 다림질
구겨진 못난 마음이 다림질한다면 달라질까.
사회불안 장애를 겪고 있는 이들의 심각성을 접하면서 음식 알레르기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일종의 사회 알레르기 현상이 아닌가 싶다. 사회불안 장애란 타인과 함께 있을 때의 불안 정도가 일상생활에서까지 불편을 초래하는 장애 증상이라고 한다.
대인 공포증이다.
알레르기 음식은 조심하고 먹지 않으면 되지만 사람 관계는 안 만난다고 해결될 일은 아니라 더 두렵고 힘든 일이다. 웃기 싫어도 웃어야 하고 인간에 대한 알레르기 현상이 없는 척 매번 쇼를 해야 하는 스트레스로 에너지를 소비한다. 진짜 나를 감추고 가짜 행세를 지속하는 일도 못할 짓이라고 어떤 이는 포기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이러한 불안은 버텨내야 한다.
자신을 사랑하는 자존감은 있지만 타인에게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자존감보다 남의 시선에 에너지 소비를 하고 있다. 물론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남들의 칭찬과 인정으로 기분이 좋아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남이 나를 좌지우지하는 심판관은 아니다.
남에게 비친 나의 모습이 아니라 스스로 자신을 칭찬하고 토닥일 때 진정한 마음의 다림질이 완성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를 인정해주고 보듬어주고 용기를 주는 이는 결국 자신이어야 한다.
남이 나를 어떻게 평가할까 걱정하기 이전에 자신을 존중하는 일이 우선이어야 한다. 자신을 신뢰하는 긍정적 연결고리가 창의성을 발휘해서 상대방을 존중할 여유가 생기기 때문에 자존감이 있어야 공동체 속에서의 상호작용이 원활이 이루어진다.
내 삶의 칼자루는 타인이 아니라 나 스스로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끌려가는 인생이 아니라 자신이 움직이고 싶은 방향으로 운전대를 잡아 달려 나가는 것이 진정한 나로 완성하는 길이다. 상대방으로 인해 구겨진 자존감을 나 스스로가 빳빳하게 다림질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