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열모 문학칼럼] 中國의 오만한 패권주의 - 시애틀한인 문학칼럼
중국의 오만한 패권주의는 최근에 한국을 방문한 중국의 외교부장 <왕이>의 태도에서도 나타났다. <왕이> 외교부장은 한중 외교장관 회담 장소에 25분이나 지각하는 결례를 범하며 교만한 태도로 일관했다 <왕이> 부장의 이번 방한 목적은 미국의 정권교체를 계기로 주변국의 분위기를 탐색하면서 대응책을 모색하려는 의도가 깔려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지난 2017년 12월에 문재인 대통령이 국빈방문 했을 때에도 노골적으로 홀대하면서 수행기자단을 현장에서 무자비하게 집단폭행까지 했다.
그런데 문재인 대통령은 이에 대한 단호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저자세를 보여 나라 체면이 크게 훼손되고 있으니 우리 민초들은 답답하기만 하다.
중국의 한반도에 대한 패권주의는 그 뿌리가 장구한 역사 속에 박혀있다. 중국은 우리와 같은 유교문화권의 이웃 나라이면서도 오늘에 이르기까지 종주국이라는 우월감을 가지고 우리 내정에 깊숙이 간섭해왔다.
그러다가 구한말(舊韓末)에 일어난 청일전쟁(1894~1895)에서 일본에게 패망해 종주권을 일본에게 빼앗기고, 비로소 우리나라에서 물러나 오늘에 이르렀던 것이다.
그러면서도 중국은 아직도 우리에게 우월감을 버리지 않고 종주국 행세를 하면서 오만한 패권주의를 나타내고 있다. 그 대표적 사례가 동북공정(東北工程)이라는 이름으로 우리 고구려사(高句麗史)를 왜곡하기도 하고, 한반도의 분단을 국제무대에서 교묘하게 이용하면서 남북통일을 가로막고 있다.
중국은 6·25전쟁에서 우리 국군과 UN군이 압록강까지 진격해 통일을 눈앞에 둔 시점에 인해전술로 개입해 남북통일의 기회를 무산시켰던 것이다. 그리고 북조선에서 김일성 일가의 혹독한 탄압에 견디다 못해 구사일생으로 만주 땅에 피신한 탈북자들을 붙잡아 북한으로 압송하는 만행도 계속 자행하고 있다.
중국은 또한 UN이 북한의 핵 개발을 저지하고자 현재 추진하고 있는 대북제재에 대해서도 겉으로는 동참하는 척하면서도 뒤에서 몰래 북한 독재를 계속 지원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중국은 우리가 북한의 미사일에 대비하기 위해 설치한 사드(고고도 미사일 요격 무기)에 대해서도 반발하고 있다.
차제에 중국은 어떤 나라인지 그 실체를 분석해 보면 매우 흥미롭다. 중국은 古代 유교 문화의 발상지이면서도 내란이 자주 일어나 혼란스러운 틈에 서구 열강들의 침범에 시달려 왔다. 더욱이 모택동(毛澤東)이 1966년부터 1976년까지 10년 동안 일으킨 문화혁명에 나라가 초토화되었다. 그러다 등소평(鄧小平)이 1978년에 집권하자 개방정책을 통해 국가 경제가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오늘날에는 세계 G2의 자리에 올라설 정도로 크게 성장했다.
나라 경제가 성장하자 옛 패권주의가 되살아나 주변 국가에 대해 다시 안하무인 격으로 행패를 부리고 있다.
중국은 국토가 넓기 때문에 국경을 맞대고 있는 나라가 12개나 되는데, 이 12개국 중에서 북한을 제외한 11개 국가와는 계속 마찰을 일으켜 항상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심지어 러시아와도 반목할 정도로 주변국에 행패를 부리고 있다. 중국의 패권주의는 영토분쟁이 일어나고 있는 남지나해(南支那海)에서 公海의 바다 밑에 있는 암초를 돋구어 육지로 만들고서 주변 해역을 모두 자기들의 영해라고 주장하기에 이르렀다.
중국의 이러한 패권주의는 미국의 G1 자리까지 끼웃거려 미국과 현재 심각한 무역마찰을 일으키고 있으니 지난날 치열했던 <미소 냉전>과 유사한 또 하나의 패권전쟁이 일어나고 있다.
지난날의 <미소 냉전>은 미국의 강력한 압력에 견디다 못한 소련이 1985년에 <페레스트로이카>라는 개방정책을 강요당해 <소련 연방>은 1991년에 드디어 해체되고 말았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에서 중국의 패권주의도 이제 한계에 도달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면서도 세심한 경계를 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중국의 오만한 패권주의에 슬기롭게 대처하는 가장 강력한 힘은 韓美日 동맹에 있다. 특히 이웃 일본과의 우호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우리 사회 일각에서는 아직도 일본의 식민통치에 대해 비난하며 적대시하는 것을 애국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는데 중국의 패권주의에 맞서기 위해서는 미국을 물론, 일본과의 우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장차 국익에 도움이 될 것으로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