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웨이모 vs 테슬라…텍사스 도로 달구는 자율주행

구글 웨이모 vs 테슬라…텍사스 도로 달구는 자율주행




(서울=연합뉴스) 문관현 기자 = 구글의 자율주행 부문 자회사인 웨이모가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운전자 없는 로보택시 운행 구역을 확대한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웨이모는 오스틴에서 서비스 지역을 기존 약 96㎢에서 약 233㎢로 늘린다고 17일(현지시간) 밝혔다.

웨이모는 그간 오스틴에서 차량공유업체 우버와 손잡고 100대 이상의 차량을 운영해왔다.

웨이모의 서비스 확대 방침에 대해 로이터는 테슬라 등 경쟁사로부터 오스틴에서 로보택시 선두 자리를 지키기 위한 조치라고 풀이했다.

테슬라는 지난달 오스틴의 제한된 지역에서 12대의 모델Y 차량을 이용해 시범 운행을 한 후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웨이모의 제품 관리 수석 이사인 슈웨타 슈리바스타바는 "오스틴은 여전히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도시 중 한 곳"이라고 말했다.

자율주행 택시 선두 주자로 평가받는 웨이모는 현재 샌프란시스코를 비롯해 베이 지역, 로스앤젤레스, 피닉스, 애틀랜타 등에서 약 1천500대의 차량을 운영하고 있다. 내년에는 워싱턴DC에서 완전 자율주행 호출 서비스를 개시할 계획이다.

앞서 웨이모는 로보택시 서비스 주행거리가 1억 마일(1억6천만㎞)을 돌파했다고 지난 15일 밝히기도 했다.

테슬라도 추격전에 나섰다.

머스크는 2개월 이내에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에서도 로보택시 서비스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다만 테슬라는 웨이모 등과 달리 레이더 같은 센서를 쓰지 않고 카메라와 인공지능(AI) 기술에만 의존하는 등 대규모 상용화를 위한 기술 및 규제 장벽을 넘어야 한다는 평가도 있다.

khmoo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0 Comments
제목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