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무인전투기 시대 현실되나…美 두번째 업체도 시험비행 착수


AI 무인전투기 시대 현실되나…美 두번째 업체도 시험비행 착수

제너럴 아토믹스 이어 안두릴의 시제기 시험비행…이르면 내년에 생산 수주

美, 2030년까지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구축…AI 전투기 1천대 이상 구매 목표




(서울=연합뉴스) 김병수 기자 = 미 공군이 차세대 전투기 사업으로 유인 전투기와 협력해 임무를 수행하는 인공지능(AI) 자율형 무인전투기 개발을 추진하는 가운데, 두 번째 계약업체도 AI 무인전투기 시제기의 시험비행에 착수했다고 군사전문매체들이 3일 보도했다.

이에 따라 머지 않은 시일내 소수의 유인 전투기와 다수의 AI 무인전투기가 협력해 임무를 수행하는, 유무인 복합 전투체계의 시대가 열릴 수 있음을 예고하고 있다.

미 군사전문매체 에어포스타임스 등에 따르면 미 공군의 AI 무인전투기 개발 계약업체 중 한 곳인 방산 스타트업 '안두릴'은 지난달 31일 캘리포니아의 한 공군기지에서 YFQ-44A 시제기의 시험비행을 시작했다.


미 공군 AI 무인전투기 사업의 또다른 계약업체인 제너럴 아토믹스는 지난 8월 시제기인 YFQ-42A의 첫 시험비행을 실시한 바 있다.

미 공군은 차세대 공중전략의 핵심으로, 5세대 전투기인 F-22·F-35, 6세대 전투기인 F-47(개발 중) 등과 같은 유인 전투기와 AI 기반의 무인 전투기가 팀을 이뤄 작전을 수행하는 '유무인 복합 전투체계' 개념을 수립하고, 이를 위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협업전투항공기(CCA·Collaborative Combat Aircraft)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2024년부터 이 사업을 시작한 미 공군은 모두 60억 달러를 투자해 CCA를 개발할 계획이고, 2030년까지 초기 작전 능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최소 1천 대 이상의 CCA를 확보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CCA는 유인 전투기를 도와 공격뿐만 아니라 정찰 작전, 전자전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도록 추진되고 있다.

공군은 지난 2024년 4월에 첫번째 CCA 계약업체로 두 회사를 선정했으며 두 업체의 시제기가 시험비행에 착수함에 따라 이르면 내년에 두 CCA 모델 가운데 어떤 것을 생산에 투입할지 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CCA가 실전 배치되면 지금까지 전투기 운용방식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마인크 미 공군장관은 안두릴 시제기의 첫 시험비행이 끝난 뒤 성명을 내고 "오늘 YFQ-44A의 첫 비행을 통해 CCA 프로그램에서 지속적인 진전을 이뤘다"면서 "이 이정표는 경쟁이 어떻게 혁신을 촉진하고 납품을 가속화하는지 보여준다"고 말했다.

안두릴도 성명을 통해 YFQ-44A의 컨셉트에서 첫 비행까지 556일이 걸렸다고 소개한 뒤 "이는 최근 역사상 어떤 주요 전투기 프로그램보다 빠른 속도"라고 평가했다.

이어 안두릴은 "(시제기의) 모든 활주 및 비행시험은 반자율(semi-autonomous)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며 "이것은 항공전력의 새로운 시대이며, 스크린 뒤에서 항공기의 비행을 (원격으로) 조작하는 운용자는 더 이상 없다"고 밝혔다.

bingsoo@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0 Comments
제목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