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노동시장 힘 부풀려졌나?…일자리 과다 집계 가능성 제기


美 노동시장 힘 부풀려졌나?…일자리 과다 집계 가능성 제기

일부 전문가 '月 7만∼20만개 더 많이 잡혔다'…가계조사는 고용감축 시작
(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 = 과열 상태로 평가받는 미국 노동시장이 보기만큼 강력한 상태가 아닐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일자리 지표가 잘못 집계됐을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미국 경제가 수치로 보는 것보다는 경기침체에 가까운 상태일 수 있다고 본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미국의 일자리는 올해 들어 160만 개 증가해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직전인 2019년의 두 배에 가까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겉보기에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공격적인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좀처럼 노동 과열이 식지 않고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우려할 만한 신호도 포착된다. 지난 5월 실업률은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인 3.7%로 집계됐으나, 전월보다 0.3%포인트 높아져 팬데믹 초기를 제외하면 지난 2010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일자리 수는 늘고 있지만, 노동시간은 줄고 있다.

스탠다드차타드의 스티브 잉글랜더 북미 거시전략부문장은 WSJ에 "확실하지는 않지만, 일자리 지표가 과다 집계됐을 가능성은 50% 이상"이라며 한 달에 최대 20만 개 정도의 일자리가 통계에 과다 반영됐을 수 있다고 말했다.

SMBC 닛코의 미국 담당 수석이코노미스트인 조지프 라보냐는 실제보다 과도하게 계산된 일자리 수가 월 7만7천여 개일 것으로 추산했다.

UBS의 미국 담당 수석이코노미스트 조너선 핑글은 지난해 말 현재 비농업 일자리 수가 수십만 개 더 많이 잡혔을 가능성이 크다며 이러한 과다 집계 추세가 올해도 계속되고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5월 고용 보고서에도 통계와 현실의 괴리 가능성을 시사하는 대목이 나온다.

노동부는 민간 기업과 정부 기관 12만2천여 곳을 대상으로 한 기관 설문조사, 6만 가구를 샘플로 한 가계 설문조사를 병행해 고용 보고서를 작성하는데 양쪽의 설문 결과가 판이하였다.

미국의 일자리가 33만9천 개 증가했다는 기관 조사 결과와 달리 가계 조사에서는 일자리가 31만 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 조사에서는 실업자 수가 44만 명 급증한 610만 명으로 작년 2월 이후 가장 많았다.

통상 일자리는 기관 조사가 더욱 정확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경제가 전환점에 놓였을 때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예를 들어 경제위기의 여파가 강했던 2007∼2010년 미국의 일자리 수는 총 170만 개 과다 집계된 것으로 나중에 확인됐다.

스타트업에서 새로 창출된 일자리와 폐업한 기업에서 없어진 일자리 수가 통계에 정확하게 반영되지 않아 이러한 오류를 일으킨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 경우 기관 조사보다는 가계 조사 결과를 주시할 필요가 있으며, 거기서 일자리 수가 3개월 연속 줄어들 경우 "노동시장이 변곡점에 이르렀다는 신호"라고 라보냐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밝혔다.

firstcircl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0 Comments
제목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