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CPI, 부주의로 예정보다 30분 먼저 공개…"전면 조사 진행 중"


美CPI, 부주의로 예정보다 30분 먼저 공개…"전면 조사 진행 중"


노동통계국 홈피에 게시…30분간 자산가격 흐름에 급변 없어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차병섭 기자 =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시기를 둘러싸고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지표에 대한 관심이 커진 가운데, 미 당국의 부주의로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정보다 30분 먼저 공개된 것으로 전해졌다.

미 노동통계국은 15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이날 오전 8시 30분 예정됐던) 지표 발표 약 30분 전 부주의로 파일 일부를 웹사이트에 올렸다"고 밝혔다.

노동통계국은 그러면서 "노동통계국은 데이터 보안을 심각히 받아들이며, 사건 재발을 막기 위해 절차·관리에 대한 전면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30분간 자산 가격 흐름에 급격한 변동은 없었으며, 공식 발표 이후 주가 지수 선물이 급등하고 국채 금리는 하락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했다.

하지만 연준의 금리정책에 큰 영향을 끼치는 CPI 지표가 어떻게 예정보다 먼저 공개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스톤엑스파이낸셜의 우밍쩌는 지표가 일찍 공개됐지만 대체로 시장 거래가 많지 않았다고 보면서도, 투자자들이 알아차렸다면 30분은 거래를 하기에 매우 긴 시간일 것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노동통계국의 지표 관리가 문제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한 달 전 노동통계국 소속의 한 이코노미스트가 인플레이션과 관련된 자료를 JP모건·블랙록 등 월가 금융기관들과 주고받았다는 블룸버그의 보도가 나온 바 있다.

2022년 12월에는 시장 예상보다 양호한 인플레이션 지표가 발표됐는데, 국채 선물 가격이 발표 몇초 전 랠리를 펼치면서 정보 유출이나 해킹에 대한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bscha@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0 Comments
제목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