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美와 '환율 조작 불가' 합의…대만달러 절상 전망


대만, 美와 '환율 조작 불가' 합의…대만달러 절상 전망

대만 중앙은행·미 재무부 공동성명서 기본 원칙 재확인 


(타이베이=연합뉴스) 김철문 통신원 = 미국의 환율 관찰대상국으로 지정된 대만이 미국과 환율 조작은 원칙적으로 불가하다는 합의에 도달했다고 중국시보와 연합보 등 대만언론이 17일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대만 중앙은행과 미국 재무부는 지난 14일 환율 문제와 관련한 '공동 성명'에서 환율을 시장에 맡긴다는 기본 원칙을 재확인했다.

이 소식통은 양측이 외환시장에서 환율을 조작해서는 안 되며 과도하거나 무질서한 환율 변동이 있을 경우에만 '대칭적'인 개입을 고려하는 것에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설명했다.

또 연기금 등 공공투자 수단의 해외투자도 수출 등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환율 조정을 목표로 삼아서는 안 된다는 것에 상호 동의했다.

다른 소식통은 대만이 내년부터 외환시장 개입 데이터 공개 빈도를 현행 '6개월 1회'에서 '3개월 1회'로 조정하고, 국제통화기금(IMF)의 '국제준비금 및 외환 유동성 템플릿'에 따른 선물환 포지션 등 관련 정보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만언론은 대만과 미국의 공동성명이 일본, 한국, 스위스, 태국, 말레이시아에 이어 6번째라면서 빈도는 국가별로 조금씩 다르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번 발표는 외환시장에 대한 여파를 우려해 14일 외환시장 종료 이후 이뤄졌다며 향후 대만달러 평가절상이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 야당 입법위원(국회의원)은 대만과 미국의 무역 협상 결과 발표를 앞두고 대만 경쟁 우위를 위한 당국의 환율 조정 능력이 크게 하락할 것이라는 점에 우려를 내놓았다.

앞서 미국 재무부는 지난 5월 의회에 보고한 '주요 교역 대상국의 거시경제 및 환율 정책' 반기 보고서에서 중국, 일본, 한국, 싱가포르, 대만, 베트남, 독일, 아일랜드, 스위스 등 9개국을 환율 관찰대상국으로 지정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8가지 '비관세 부정행위' 중 첫 번째로 '환율 조작'을 꼽았다.

미국이 관찰대상국인 대만을 환율조작국에 올리겠다고 압박하면서 협상에서 대만이 더 큰 양보를 하도록 강요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jinbi100@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0 Comments
제목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