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결 알아보기 쉽게…서울지하철 노선도 40년만에 새옷 입는다


한결 알아보기 쉽게…서울지하철 노선도 40년만에 새옷 입는다

서울알림체 적용…여의도역엔 투명 OLED 설치해 영상 노선도 운영
 

신형 단일 노선도(2호선)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신형 단일 노선도(2호선)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정수연 기자 = 1974년 개통된 서울 지하철 호선별 노선도가 40년 만에 새 옷을 입고 서울 시민의 편리한 길잡이 역할을 시작한다.

호선별 노선도는 지하철 전동차나 승강장에 부착된 노선도로 해당 노선을 타면 어느 역에서 어떤 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단일 노선도라고도 한다.

지금의 노선도는 역위치와 노선 이동 방향, 지자체 경계 등 중요 지리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고 표기 체계 또한 통일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역별 번호와 다국어 표기도 부족해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개선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이에 시는 내외국인 모두가 읽기 쉬운 '신형 단일노선도' 표준디자인을 개발했다.

새로운 노선도는 서울교통공사와 협의 후 하반기부터 순차적으로 부착할 예정이다.

신형 노선도는 가로형, 세로형, 정방형(안전문 부착형) 3가지다.

신형 노선도는 색각이상자도 쉽게 구분 가능한 색상체계를 도입했고 환승 라인을 신호등 방식으로 표기했다.

외국인의 이용을 돕기 위해 역 번호를 표기했다.

서울과 타 지자체의 경계, 한강 위치와 분기점도 반영했다.

시는 이 외에도 관광객이 즐겨 찾는 서울시청,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남산 서울타워 등 대표명소에 대한 픽토그램 14종을 개발해 노선도에 적용하고 관련 굿즈도 개발·제작할 예정이다.

신형 노선도에는 시가 새로 개발한 '서울알림체'를 처음으로 적용했다. 서울알림체는 자연스러운 손 글씨 형상과 섬세한 곡선의 획, 이음 구조를 적용한 게 특징이다.
 

서울알림체 이미지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알림체 이미지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시는 승강장 안전문에 투명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을 설치, 신형 노선도를 영상 형태로도 선보일 계획이다. 5호선 여의도역 승강장에 LG디스플레이 투명 OLED 패널 32대를 설치하고 역 운영 시간에 가동한다.

최인규 서울시 디자인정책관은 "향후 전동차, 승강장은 물론 굿즈 등 다양한 용도로 널리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jsy@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0 Comments
제목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