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명 부족에 5로 나눠"…감사원이 밝힌 '2천명 증원 미스터리'


"1만명 부족에 5로 나눠"…감사원이 밝힌 '2천명 증원 미스터리'

이관섭이 연구논문 토대로 처음 제시…"역술인 개입은 없어"
"尹 임기中 증원문제 해결 의지"…尹과 2천명 숫자 상의는 안 해
증원규모 의협과 협의 '패싱'…감사원 "책임 있는 자세 아냐"

 

내일 전공의 하반기 수련 재개…의료공백 해소 기대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의대 증원에 반발해 의료현장을 떠났던 전공의들이 내일부터 시작되는 하반기 수련에 대부분 복귀할 것으로 보인다. 31일 의료계에 따르

내일 전공의 하반기 수련 재개…의료공백 해소 기대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의대 증원에 반발해 의료현장을 떠났던 전공의들이 내일부터 시작되는 하반기 수련에 대부분 복귀할 것으로 보인다. 31일 의료계에 따르면 수련병원별 하반기 전공의 모집 절차가 대부분 마무리되면서 선발된 전공의들이 9월 1일부터 수련을 개시한다. 집단 사직했던 전공의들 중 상당수는 복귀를 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에 마련된 전공의 전용공간. 2025.8.31 dwise@yna.co.kr


(서울=연합뉴스) 임형섭 황윤기 기자 = 감사원은 27일 발표한 의대 증원 추진 과정에 대한 감사에서 윤석열 정부가 증원 규모를 '연간 2천명'으로 설정한 것에 대한 조사 결과도 공개했다.

감사에 따르면 우선 '2천명'이라는 숫자를 처음 언급한 것은 이관섭 전 정책실장(당시 국정기획수석)이었다고 한다.

2023년 6월 조규홍 당시 보건복지부 장관이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매년 500명' 증원안을 내놨으나, 윤 전 대통령은 "충분히 늘려야 한다"며 사실상 재검토 지시를 했고 이에 이 전 실장이 꺼낸 수치가 '연간 2천명'이라는 것이다.

그 근거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KDI), 서울대 등 3개 기관에서 내놓은 '의사 부족 추계치'가 사용됐다고 한다.

복지부가 우선 3개 기관의 연구 논문을 토대로 2035년까지 1만명의 의사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했고, 이 전 실장은 이를 토대로 "(5년 동안의 증원을 추진하기로 한 만큼) 1만명 나누기 5를 해서 2천명을 제시했다"고 감사원에 진술했다.

다만 이 전 실장은 '2천명'이라는 숫자를 윤 전 대통령과 사전에 상의하지는 않았다는 진술도 함께 내놨다.

대신 "윤 전 대통령이 본인 임기 중에 해결하려는 의지가 있었다"는 관련자 진술을 조사 과정에서 확보했다고 감사원은 설명했다.

이는 윤 전 대통령의 임기는 2025년부터 5년간인 의대 증원 계획 도중인 2027년에 종료될 예정이긴 했지만, 자신의 임기 내에 최대한 많은 숫자를 늘려놔야 다음에도 그 흐름을 이어갈 수 있다는 점에서 윤 전 대통령이 강력히 드라이브를 걸었을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 전 실장 역시 "나중에 여러 상황 때문에 (연간 증원 규모가) 줄어드는 한이 있더라도 (처음에는) 큰 숫자로 나가는 게 더 맞는다고 판단했다"는 진술했다.
 

[2024결산] 연합뉴스 선정 10대 국내 뉴스 - 의대 증원에 의정갈등

[2024결산] 연합뉴스 선정 10대 국내 뉴스 - 의대 증원에 의정갈등 '최고조'
(서울=연합뉴스) 의대 증원 문제를 둘러싼 정부와 의료계의 격한 대립으로 애먼 환자들이 거의 1년 동안 커다란 불편을 겪었다.
사진은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하는 의대생들의 유효 휴학이 늘어나는 가운데 의대 교수들의 '집단 사직'이 임박한 지난 3월 15일 대구 한 의과대학 강의실에 휴학한 의대생들이 남긴 가운이 수북이 쌓여 있는 장면. 2024.12.17 [연합뉴스 자료사진] zjin@yna.co.kr


역술인 개입설에 대해서는 감사원은 선을 그었다.

그동안 일각에서는 역술인 '천공' 등이 영향력을 행사한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온 바 있으나 감사원은 "'2천명'이라는 숫자를 처음 말하기 시작한 것은 이 전 실장이며 역술인 개입은 없었던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가 관련됐는지에 대한 질문도 나왔지만, 감사원은 "김 여사까지 조사하진 않았다"고 답했다.

한편 증원 결정 과정에서 대통령실과 정부는 의협 측에 미리 이 숫자를 알리지도 않은 것으로 조사 결과 나타났다.

당시 복지부 내부 논의 과정에서 "의사단체나 협의체에 (2천명이라는 수치를) 제시하면 바로 파업이 일어날 것", "의협도 먼저 (적정한 증원) 규모를 제시하지 않았는데 왜 정부가 먼저 제시해야 하느냐" 등의 의견이 나왔다고 한다.

감사원은 이를 두고 "책임 있는 정부의 자세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hysup@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0 Comments
제목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