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검사 안하고, 확진에도 출근"…'깜깜이 확진' 전파 비상


"코로나 검사 안하고, 확진에도 출근"…'깜깜이 확진' 전파 비상

확진자 지침 '없거나 유명무실'…검사 안하거나, 확진에도 조치 없는 경우 많아
"'아프면 쉬는 문화' 정착 안 돼"…노인·만성질환자 등 고위험군 감염 우려

 

코로나19 깜깜이 확진 전파 비상 [연합뉴스 자료사진]

코로나19 깜깜이 확진 전파 비상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권지현 기자 = "키트 검사에서 코로나 확진이 나왔지만, 이제 코로나는 감기 정도라는 인식이라 호들갑 떨기가 그렇더라고요. 병가도 못 쓸뿐더러 일도 많아서 그냥 마스크를 쓰고 출근했죠."

직장인 김모(36) 씨는 최근 기침 등 증상이 나타나자 실시해본 키트 검사에서 코로나19 확진이라는 결과를 확인했지만, 별다른 조치 없이 계속 출근해 근무했다.

코로나19의 감염병 등급이 하향되며 코로나로 인한 병가 사용이 없어졌기 때문이다.
 

코로나19 환자 급증, 약국 앞엔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코로나19 환자 급증, 약국 앞엔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코로나19의 여름철 확산세가 심상치 않지만, 감염병 등급과 위기 단계가 하향돼 대부분의 방역 지침이 사라진 상황에서 '아프면 쉴 권리'가 침해당하고 감염이 급속히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확진자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없어 대부분의 증상자가 검사 자체를 하지 않고, 확진을 확인한 사람들도 별다른 조치 없이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질병관리청이 병원급 의료기관 220곳을 표본 감시한 결과, 올해 코로나19 입원환자 수는 2월 첫째 주(875명) 이후 계속 줄다가 지난 6월 말부터 증가세로 전환한 뒤 지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이달 첫째 주에는 861명이 신고돼 2월 수준까지 늘었다. 최근 4주간 코로나19 입원환자 수는 지난달 둘째 주 148명, 셋째 주 226명, 넷째 주 475명이었다. 일주일마다 2배 가까이 늘어나는 모습이다.

방역당국은 현재까지는 위기단계 상향 조정 등은 필요하지 않다고 보고 현재의 방역 지침을 유지하기로 했다.

지난해 8월 코로나의 감염병 등급이 2급에서 4급으로 내려가면서 확진 검사와 입원 치료에 대한 정부 지원은 대폭 축소됐다. 확진자에 대한 생활지원비와 코로나 유급휴가를 제공한 기업에 대한 지원도 중단됐다.

올해 5월부터는 코로나 위기 단계가 경계에서 '관심'으로 하향 조정됐다. 기존 5일 격리 권고였던 확진자 격리 방역지침은 '주요 증상 호전 후 24시간 경과 시까지'로 완화됐다.
 

[그래픽] 코로나19 입원환자 수 추이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그래픽] 코로나19 입원환자 수 추이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이런 상황이다 보니 '코로나로 인한 쉼'이 인정받지 못하는 분위기다.

직장인들은 회사에 코로나 관련 지침이 없거나 유명무실해 아파도 참고 출근하거나, 개인 연차를 사용한다고 전했다. 일이 많은 경우에는 연차조차 마음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서울에 거주하는 직장인 성모(55) 씨는 "일반 감기보다 심한 기침 등 코로나 의심 증상이 있었지만, 격리 의무나 유급휴가가 없기 때문에 검사하는 의미가 없을 것 같아 굳이 하지 않았다"며 "동료들도 일주일째 기침이 심해 '코로나 같다'고 하면서도 굳이 검사하거나 쉬지 않고 그냥 마스크 쓰고 출근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직장인 권모(32) 씨의 경우 키트로 코로나 감염 사실을 확인한 후에 개인 연차휴가를 사용했다.

권씨는 "회사 자체 지침은 병가도 허용하고 있지만, '코로나 엔데믹' 상황에서 병가 결재받기가 번거롭고 눈치 보여 마음 편하게 개인 연차를 사용했다"고 말했다.
 

편의점 코로나19 진단키트 판매 급증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편의점 코로나19 진단키트 판매 급증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깜깜이 확진'이 많아지면서 감염 확산세가 급속도로 가팔라질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진다.

김씨는 "내가 아픈데 일하는 건 참을 수 있었지만, 가족 중 고위험군이 있는 동료가 감염될까 봐 매우 걱정됐고, 폭염에도 최고 등급의 마스크를 벗을 수가 없었다"고 토로했다.

특히 고위험군인 고령층이 모여 있는 요양시설 등은 '비상'이다.

서울의 한 노인돌봄 시설 종사자는 "저희가 돌보는 어르신들은 노인들 중에서도 면역력이 약하신 분들"이라며 "최근 확산하는 '깜깜이 전염'이 우려돼 마스크 착용 등에 더욱 주의를 기울이고 있지만 계속 걱정이 든다"고 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젊은 사람은 코로나에 걸려도 가볍게 앓고 지나갈 수 있지만, 고령자와 기저 질환자는 위중증 또는 사망으로 갈 수 있다는 게 문제"라며 "면역저하자가 많은 요양원 등에 퍼지면 사망자가 늘어난다"고 우려했다.

김 교수는 "코로나 때 정부가 '아프면 쉬는 문화'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했지만, 지금 상황을 보면 정착되지 못한 것 같다"며 "정부 지원이 없어졌는데 중소기업 등에서 직원들이 아프다고 쉬라고 하겠느냐. 각자 조심해야 하는데 쉽지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방역당국에서는 개인 위생 수칙을 지킬 것을 강조하고 있다.

전파 방지를 위해서는 마스크 착용이 중요하며, 실내에서는 주기적으로 소독과 환기를 해줘야 한다. 타인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특히 확진자는 가족 내 고령자와 영유아, 만성질환자 등 고위험군에 감염되지 않도록 접촉을 피해야 한다.
 



fat@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0 Comments
제목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