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운전자 돌발상황 반응속도 비고령자보다 최대 1초 늦어"
소비자원, 시내도로 시뮬레이션…"사고 위험 높다 스스로 인식"
(서울=연합뉴스) 전성훈 기자 = 선행 차량 급정지 등의 돌발 상황에서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의 반응시간이 비고령자보다 최대 1초 이상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고령·비고령 운전자 34명을 대상으로 시내 도로 주행 시뮬레이션 시험을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이에 따르면 앞서가는 차량이 급정거했을 때 브레이크를 밟기까지 비고령 운전자는 3.09초가 걸렸으나 고령자는 3.56초가 소요돼 0.47초 늦었다.
또 불법주차 차량으로 시야가 제한된 상태에서 횡단보도에 갑자기 어린이가 나타났을 때는 고령자(2.28초)가 비고령자(1.20초)보다 1.08초나 늦게 반응했다.
통상 시속 50㎞로 주행하는 차량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1초 늦게 밟으면 약 14m를 더 가게 된다. 그만큼 교통사고가 발생할 위험도 커진다.
고령 운전자 자신도 교통사고를 유발할 위험이 크다는 점을 잘 인식하고 있었다.
고령 운전자 스티커
[전남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소비자원이 고령 운전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를 보면 182명(60.7%)은 비고령자보다 교통사고를 일으킬 가능성이 더 크다고 답했다.
그 이유(중복응답)로는 '판단력이나 반응속도 저하'를 꼽은 응답(174명·95.6%)이 가장 많았고 '시력 저하'(132명·72.5%), '운동신경 저하'(120명·65.9%), '지속적인 약물 복용 경험'(18명·9.9%) 등이 뒤를 이었다.
사고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는 '첨단 운전자보조시스템이 있는 고령자용 보조 차량 도입'(188명·62.7%)을 가장 많이 언급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23년 1월 시행된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고령 운전자 차량에 대한 비상자동제동장치 설치를 의무화했다.
하지만 돌발 상황에서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혼동할 여지가 큰 만큼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를 장착한 차량 보급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소비자원은 제언했다.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는 차량 센서가 전후방의 차량이나 장애물을 인식해 운전자가 브레이크 대신 가속 페달을 밟을 경우 엔진 출력을 억제함으로써 급가속을 막는 장치다.
고령 운전자가 많은 일본의 경우 비상자동제동장치와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가 함께 설치된 차량의 인증·보급을 장려하는 추세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관계부처와 공유하고 이러한 점을 건의할 예정이다.
lucho@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