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권고 혼란…전문가들 “과학적 근거 따라야”
트럼프 발언·자문위 전면 교체로 정책 혼선…“정치 아닌 과학이 기준 돼야”
미국의 백신 정책을 둘러싼 혼란이 커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연방 보건 당국 자문위원 전원 교체, 그리고 주별 독자적 움직임이 이어지면서 국민에게 잘못된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의료 전문가들은 지난 9월 26일 아메리칸 커뮤니티 미디어(ACoM)가 주최한 긴급 브리핑을 통해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백신 정책 수립과 영유아 백신 접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긴급 브리핑은 로버트 F. 케네디 연방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 6월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산하 예방접종자문위원회 위원 17명을 전원 해임한 사건을 계기로 마련됐다. 해임 후 새 위원들은 불과 이틀 만에 임명됐으나, 임상 경험과 공중보건 지식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이들이 제시한 새로운 권고안은 기존 과학적 합의와 충돌하는 부분이 많아 각 주 정부가 별도의 검토 기구를 꾸리는 상황으로 이어졌다.
논란의 중심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있다. 그는 최근 B형 간염을 성병으로 규정하며 백신 접종 시기를 출생 직후가 아닌 12세로 미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UC샌프란시스코 의대 간질환 전문의 마우리시오 보나치니 교수는 “미국에서 매년 약 1,000명의 아기가 B형 간염에 감염되며, 이 가운데 90%가 만성 간염으로 진행된다”며 “출생 직후 접종이 간암 발생률을 크게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반박했다.
스탠퍼드 의대 소아감염병 교수 이본 보니 말도나도 박사는 MMRV(홍역·볼거리·풍진·수두) 백신과 관련해 “홍역은 여전히 가장 전염성이 높은 바이러스 중 하나이며, 풍진은 임신부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수두 역시 합병증과 대상포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예방 접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그는 “MMRV 혼합 백신이 자폐증을 유발한다는 주장은 수백만 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근거가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부작용 우려를 일축했다. 이번 브리핑에서는 코로나19 백신 지침 완화도 중요한 쟁점으로 떠올랐다. 현재 접종 지침이 기존의 ‘강력 권고’에서 ‘의사 상담 후 결정’으로 변경되면서, 취약계층이 접종 기회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UC샌프란시스코 감염병학자 피터 친-홍 교수는 “지난해에만 5만 명이 코로나19로 사망했으며, 노인·임산부·영유아·기저질환자는 여전히 고위험군”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미국인 상당수가 약국에서 백신을 맞아왔는데, 상담 절차를 의무화하면 이들이 오히려 접종에서 배제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로 정치적 개입이 과거 공중보건의 성과를 되돌려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말도나도 박사는 “최근 조사에서 미국인의 90% 이상이 백신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80% 이상이 학교 백신 의무화를 지지한다”며 “정치 지도자의 발언이 과도한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소수의 반(反)백신 세력이 커다란 목소리를 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텍사스 A&M대 바이러스학자 벤저민 뉴먼 교수는 “백신을 다른 의약품에는 적용하지 않는 잣대로 평가하는 것은 과학이 아니라 정치적 프레임”이라며, “백신은 여전히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부모들은 안심해도 된다”고 강조했다.
친-홍 교수 역시 “백신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해 새로운 부정적 증거는 전혀 없다”며 “정치적 소음에 흔들리지 말고 과학적 사실을 따를 것”을 당부했다. 이번 긴급 브리핑은 미국 백신 정책이 정치적 논란으로 흔들리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이 과학과 공중보건 원칙을 중심에 둔 정책 결정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환기시킨 자리였다. 전문가들은 “정치적 이해관계나 발언이 아닌, 명확한 연구와 데이터에 근거한 백신 권고만이 국민의 건강을 지키는 길”이라고 입을 모았다.













